트라우마와 약물 의존 사이의 연관성 이해하기
(Understanding the Link Between Trauma and Substance Abuse)
글쓴이: 에이미 마샬(Amy Marschall), 심리학박사(PsyD)
게재일: 2023년 8월 21일
의학 감수: 욜란다 렌테리아(Yolanda Renteria), 공인 상담사(LPC)
목차 (Table of Contents)
- 트라우마란 무엇인가? (What Is Trauma?)
- 트라우마는 어떻게 약물 의존으로 이어지는가? (How Does Trauma Lead To Substance Dependence?)
- 트라우마 관련 약물 사용의 징후 (Signs of Trauma-Related Substance Use)
- 도움을 받는 방법 (How to Get Help)
- 용어 설명 (Language Note)
용어 설명 (Language Note)
약물 사용 관련 전문가들은 “substance abuse(약물 남용)” 같은 용어에서 벗어나, 대신 “substance dependence(약물 의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이는 “abuse(남용)”라는 단어가 비난적이고 낙인적인 표현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기능을 방해하는 약물 사용과 의존에 대한 진단 명칭은 “substance use disorder(약물 사용 장애)”이다.
이 글에서는 그러한 낙인을 피하기 위해 “abuse” 대신 “dependence”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트라우마와 약물 사용 장애 위험 증가 간의 연관성은 수년 동안 연구를 통해 입증되어 왔다.
트라우마 이력이 있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약물을 더 많이 사용하며, 의존, 약물 사용 장애, 그와 관련된 합병증의 위험이 더 높다. 트라우마와 약물 사용 및 의존 사이의 연관성을 더 깊이 이해해보자.
트라우마란 무엇인가?
(What Is Trauma?)
트라우마는 스트레스, 충격, 혹은 다른 방식으로 정서적으로 괴로운 사건을 말한다.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5판, 텍스트 개정판(DSM-5-TR)』은 트라우마 사건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실제 또는 위협적인 죽음, 심각한 부상, 혹은 성적 폭력에의 노출.”
이러한 노출은 다음 네 가지 방식으로 발생할 수 있다:
- 사건을 직접 경험하거나 본인에게 발생한 경우
- 다른 사람이 그 사건을 겪는 것을 목격한 경우
- 가까운 친구나 가족에게 발생한 트라우마 사건을 알게 된 경우
- 재난 구조대원이나 상담사처럼 트라우마의 극단적인 세부사항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는 경우
트라우마 사건은 자동차 사고, 가까운 사람의 충격적인 죽음처럼 단일 사건일 수도 있고, 학대적인 가정에서 자라나는 것처럼 장기적인 스트레스 요인일 수도 있다. 트라우마는 삶의 어느 시점에서든,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다.
역경적 아동 경험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ACEs)
역경적 아동 경험(ACEs)이란 출생부터 17세까지 발생할 수 있는 트라우마적 사건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아동의 스트레스 수준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질병통제예방센터(CDC,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에 따르면, ACEs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신체적 학대 (Physical abuse)
- 정서적 학대 (Emotional abuse)
- 성적 학대 (Sexual abuse)
- 신체적 방임 (Physical neglect)
- 정서적 방임 (Emotional neglect)
- 치료받지 않은 정신질환이 있는 보호자
- 어머니나 계모 또는 여성 보호자에 대한 폭력
- 유기, 별거, 이혼, 사망 등의 이유로 부모를 상실한 경우
- 가정 구성원의 수감
- 가정 구성원의 약물 의존
ACEs는 꽤 흔한 일이며, 성인의 거의 3분의 2가 적어도 하나의 역경적 아동 경험을 보고하고 있다.
이들은 정신 건강 진단, 신체 질환, 낮은 사회적 지지, 실직, 약물 의존, 조기 사망 등 많은 문제에 기여할 수 있다.
트라우마는 어떻게 약물 의존으로 이어지는가?
(How Does Trauma Lead To Substance Dependence?)
일부 사람들은 트라우마를 경험한 후 정신 건강 문제를 겪게 된다.
많은 경우, 트라우마는 과각성(hypervigilance), 트라우마의 재경험(re-experiencing), 그리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Post(after)-Traumatic Stress Disorder )의 다른 증상으로 나타난다.
비록 약물 사용은 PTSD의 공식적 증상은 아니지만, PTSD 진단을 받은 사람 중 약 59%는 약물 사용과 의존 문제를 겪는다.
트라우마가 생애 초기에 발생할수록, 약물 사용 문제의 위험은 증가한다.
또한, 더 많은 트라우마를 경험한 사람일수록 약물 문제를 겪을 가능성도 높아진다.
트라우마를 겪은 사람들은 그로 인한 불쾌한 기분을 조절하기 위해 약물에 의존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물질은 위안을 주거나 긍정적인 감정을 일시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질적으로 약물 사용은 하나 또는 일련의 트라우마 사건 이후 자가 치료(self-medication)의 형태일 수 있다.
트라우마 발생 후, 또는 일련의 트라우마 사건 이후, 사회적 지지(social support)와 즉각적인 개입은 개인이 트라우마 증상을 겪을 가능성과 그 심각성을 줄여준다. 이러한 개입은 약물 사용 문제의 위험도 줄여주며, 약물 사용이 트라우마 증상을 다루기 위한 대처 방식이라는 이론을 뒷받침한다.
트라우마 관련 약물 사용의 징후
(Signs of Trauma-Related Substance Use)
약물 의존과 약물 사용 문제는 개인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날 수 있다.
『DSM-5-TR』에 따르면, 약물 의존은 다음과 같은 행동 및 증상을 포함할 수 있다:
- 처음 의도했던 양보다 더 많이 또는 더 오랫동안 약물을 사용하는 경우
- 약물 사용을 중단하거나 줄이려는 반복적인 시도가 실패하는 경우
- 약물을 얻고, 사용하고, 그 영향에서 회복하는 데 상당한 시간을 사용하는 경우
- 약물을 사용하지 않을 때 갈망이나 사용 욕구를 느끼는 경우
- 약물 사용으로 인해 직무, 책임 수행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
- 부정적인 결과에도 불구하고 계속 약물을 사용하는 경우
- 사회적, 직업적, 여가 활동을 포기하거나 줄이는 경우
- 위험하거나 안전하지 않은 방식으로 약물을 사용하는 경우
- 약물 사용의 부정적 결과를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사용하는 경우
- 동일한 효과를 얻기 위해 더 많은 양의 약물이 필요한 내성 증가
- 약물을 사용하지 않을 때 금단 증상 발생
만약 트라우마 사건 이후 약물 사용량이 증가했다면, 당신의 약물 사용은 그 트라우마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트라우마의 기억이나 자극(trigger)에 대처하기 위해 약물을 사용하고 있다면, 트라우마와 약물 사용 사이에 연관성이 있을 수 있다. 가해자와의 접촉이나 트라우마 발생일과 같은 특정한 자극 이후 약물을 더 많이 사용하게 된다면, 이 역시 트라우마 관련 약물 사용의 징후일 수 있다.
금연 및 중독 상담 안내
금연을 원하시거나 니코틴 의존으로 어려움을 겪고 계시다면, 아래의 전문 기관에 도움을 요청하실 수 있습니다:
- 보건복지부 금연상담전화: ☎️ 1544-9030
- 국가금연지원센터: https://www.nosmokeguide.or.kr
이 기관들은 금연을 위한 다양한 정보와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니,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심리교육육아상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왜 겸손이 중요한가? (2) | 2025.05.16 |
---|---|
왜 사람들은 자랑을 할까? (Why Do People Brag About Things?) (1) | 2025.05.16 |
여성 흡연, 여성에게만 있는 흡연의 고유한 위험성 (0) | 2025.05.16 |
흡연이 몸속 비타민을 고갈시키는 방식 (3) | 2025.05.16 |
누군가 당신을 가스라이팅할 때 할 수 있는 8가지 말 (5) | 2025.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