핫이슈정치경제문화예술

청년 일자리, '재학·구직·재직' 단계별 지원

카페블루 2025. 4. 21. 23:40
728x90
반응형

우리 청년들이 각자의 위치에서 용기 내어 첫발을 내딛을 수 있도록 이런 정책이 실질적인 도움으로 이어지길 진심으로 바랍니다.
아래 기사에서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해 보세요. 
 
블루
 
https://kcg.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941929&pWise=mostViewNewsSub&pWiseSub=B4

청년 일자리, '재학·구직·재직' 단계별 지원…"고용동향 면밀히 점검"

정부가 청년 일자리를보다 확대하고자'재학→구직→재직' 취업단계별 6대 청년일자리 사업을 선정해 집중 관리한다. 이에 재학 중인 청년에는 '청년고용올케어플랫폼'을 포함한 대학일자리 -

www.korea.kr

2025 청년 일자리 대책 요약

제24차 일자리 TF 회의 주요 내용 (2025.04.16)
발표 주체: 기획재정부·고용노동부
 

목표:

청년 취업 전 과정 ‘재학 → 구직 → 재직’ 단계별 맞춤형 6대 사업 집중 지원

1. 재학 중 청년 대상 지원

  • 청년고용올케어 플랫폼 본격 가동 → 졸업 후 미취업자 11만 명 우선 지원
  •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확대 → 대학과 연계한 실질적 취업지원
  • 미래내일일경험사업 확대 → 선호 기업(네이버·카카오 등) 참여, 6만 8천명 지원
  • K-디지털 트레이닝 → AI·반도체·바이오 등 첨단산업 중심 직무 역량 강화
  • 일경험 플랫폼·직무능력은행제 → 수료증에 세부 직무명 기재, 이력 활용 가능

2. 구직 또는 장기 미취업 청년 대상 지원

  • 청년도전지원사업 → 장기 ‘쉬었음’ 청년 발굴·심리 회복·자신감 고취
  • 부모교실·또래지원단 신설 → 가족·친구가 함께 발굴하고 연계 유도
  • 국민취업지원제도(4900억 원) → 일경험직업훈련취업까지 통합 지원
  • 복합서비스 → 고립·조건부 수급·은둔형 청년 대상 자립준비 강화
  • 중소기업 장기근속 유도 → 직업훈련 이수 후 6개월 근속 시 최대 160만원 지원

3. 재직 중 청년 대상 지원

  •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 중소기업 근속 청년에게 최대 480만 원 지급
  • 고졸 청년 취업 지원 → 교육부·고용부 협업 통한 고졸 취업 장려
  • 빈일자리(제조·건설 등) 대상 청년 채용 연계 집중
  • 청년 채용박람회·경제단체 연계 채용 지원 강화

정책적 의미

  • 김범석 기재부 차관 발언:
    “통상환경 불확실성 속에서도 고용 부진 방지 위해 산업·지역 고용 동향 면밀히 점검
    “고용위기지역 지정 등 가용 정책수단을 적기 활용하겠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