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시,음악,영화

바람의 말/마종기 시인

카페블루 2025. 5. 7. 23:27
728x90
반응형

 

"바람"이라는 키워드로 검색을 하다가

마종기시인의 "바람의 말"이라는 시를 만났고.

마종기시인의 시를 영어로 번역해 주신

아래 홈페이지 주인을 만났습니다.

그러나 이렇게 아름다운 업적을 남겨놓으시고

Song Chae Pyong님은 2013년에 암으로 돌아가셨다고 합니다..ㅠㅠ...

가족들이 그분의 삶을 기리기 위해 이 시들을 공유해 주신다고 합니다..

정말 선한 인상을 가지신 분,

시를 사랑하고, 많은 학문적 업적을 이룩하시는 분께서

이렇게 질병으로 인해 공들여 쌓은 실력과 뜻을 한껏 펼치지도 못하고

꺾여버리신 것을 생각하니 정말 안타까운 마음이 듭니다.

바로 오늘 하루 내가 살아있는 이 순간에

하고싶은 일을 하고

마땅히 해야 할 일을 하며

분초를 소중히 여기고 알차게 채워가야 할 일입니다.

이 분의 번역한 시를 앞으로 한 편식 공유하려고 합니다.

소중한 시와 그 번역을 남겨주신 송선생님께 감사드립니다.

블루

https://jaypsong.blog/2013/01/16/the-word-of-the-wind-by-mah-jonggi/

Sharing JP’s letter written in January 2013

Posted on September 16, 20219

Hi everyone,

안녕하세요,

I have taught literary/cultural theory, modern British literature,

저는 Marygrove College에서 문학/문화이론, 현대영국문학, 그리고 식민지 후기 문학을 가르쳐 왔습니다.

During the past five years, I have translated about 250 Korean poems into English and published them in journals and my own website (jaypsong.worldpress.com).

지난 5년 동안, 저는 약 250편의 한국 시들을 영어로 번역했고 번역한 시들을 학회간행물과 저의 웹싸이트(jaypsong.worldpress.com)에 발표했습니다.

 

Around the time I was diagnosed with an advanced stage of cancer at the end of 2008, I was invited to participate on a collection of modern Korean literature, led by Columbia University and the Korean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This work began my journey of translating Korean poems.

2008년 말, 암이 상당히 진행되었다는 진단을 받았을 즈음, 컬럼비아대학교와 한국문학번역원에서 주관하는 a collection of modern Korean에 참가하도록 초대받았습니다. 이 일은 나의 한국 시 번역 여정의 시작이었습니다.

 

Through translation of Korean poetry, I wanted to share our Korean culture and literature with the rest of the world. More importantly, I wanted to let the world know that the canon of Korean literature reflects our deep desire for peace and justice.

한국 시의 번역을 통해 나는 우리 한국 문화와 문학을 세계에 알리고 싶었습니다.

무엇보다 한국 문학의 주요 작품들이 평화와 정의에 대한 우리의 깊은 염원을 반영한다는 것을 세계에 알리고 싶었습니다.

Because of my college experience in Gwangju in 1980, I found the literary work on the Gwangju Uprising to be a source of inspiration. I translated many poems about what transpired on May 18, 1980 in Gwangju. I also translated many Korean poems that invoke God’s peace and justice all over the world, beyond our region.

1980년 광주에서 대학 생활을 했기 때문에 광주항쟁에 관한 문학 작품이 영감의 원천임을 알게 되었습니다.

1980년 5월 18일 광주에서 일어난 일을 주제로 많은 시를 번역했습니다.

나는 또한 우리 지역을 넘어 전 세계적으로 하나님의 평화와 정의를 부르는 많은 한국 시를 번역했습니다.

This has been a small, but very endearing project to me, just like Oh Dong Island’s camellias that blossom after a long winter. I would like to pray with you for God’s peace and justice on earth.

Thank you and I love you.

JP Song

*Sincere appreciation to Anne Rashid and Darcy Brandel, who collaborated on the translation of these Korean poems.

이러한 과정은 긴 겨울 끝에 꽃을 피우는 오동도의 동백꽃처럼 내게는 작지만 아주 소중한 프로젝트였습니다.

이 땅에 하나님의 평화와 정의가 함께 하기를 기도합니다.

고맙고 사랑합니다.

JP Song

*한국 시 번역에 협력한 Anne Rashid와 Darcy Brandel에게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The Word of the Wind by Mah Jonggi

Posted on January 16, 2013

Translated by Chae-Pyong Song and Anne Rashid

Photography by Shawn Malone

The Word of the Wind by Mah Jonggi (1939-)

After all of us leave,

if my spirit passes by you,

don’t think even for a moment it is

the wind that sways the spring boughs.

Today I will plant a flower

on a corner of the shadow

where I got to know you;

when the flower grows to bloom,

all the distress that stemmed from our acquaintance

will turn into petals and fly away.

It will turn into petals and fly away.

Though it is unbearably distant

and futile,

how can we measure all the things in the world

with only a small ruler?

When every now and then you turn your ears toward where the wind blows,

my beloved, don’t forget even if you become tired

the word of the wind that comes from faraway.

바람의 말 /마종기

우리가 모두 떠난 뒤

내 영혼이 당신 옆을 스치면

설마라도 봄 나뭇가지 흔드는

바람이라고 생각지는 마.

나 오늘 그대 알았던

땅 그림자 한 모서리에

꽃나무 하나 심어 놓으려니

그 나무 자라서 꽃 피우면

우리가 알아서 얻은 모든 괴로움이

꽃잎 되어서 날아가 버릴 거야.

꽃잎 되어서 날아가 버린다.

참을 수 없게 아득하고

헛된 일이지만

어쩌면 세상 모든 일을

지척의 자로만 재고 살 건가.

가끔 바람 부는 쪽으로 귀 기울이면

착한 당신, 피곤해져도 잊지 마,

아득하게 멀리서 오는 바람의 말을.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