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llerman(sea shanty)-Nathan Evans

Evans는 원래 전통적인 바다 노래인 "Wellerman"을 현대적인 스타일로 재해석했으며, 그의 부드러운 목소리와 리듬감 있는 스타일이 많은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았습니다. 노래가 인기를 끌면서, Evans는 공식적인 음원으로 "Wellerman"을 발표했고, 그 후 많은 사람들에게 바다 노래의 매력을 다시 한번 알리게 되었습니다.
Nathan Evans는 "Wellerman" 외에도 다른 전통적인 노래들로도 활동을 이어가고 있으며, 그의 음악은 포크 음악과 팝을 결합한 스타일로 다양한 팬층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Wellerman 은 19세기 뉴질랜드의 whaling song (고래잡이 노래)에서 유래한 용어입니다.
이 노래는 고래잡이를 하던 선원들이 부른 "Wellerman"이라는 상선(whaling ship)을 언급하는데,
이 배는 고래잡이 선원들에게 보급품을 운반하는 배로 유명했습니다.
"Wellerman"이라는 이름은 고래잡이 산업과 관련된 배의 이름에서 비롯되었으며, 현재는 "Wellerman"이라는 노래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https://youtu.be/lOj6KfJJH-I?si=vb1UURjHlsI3V4Cj
Wellerman: 바다의 리듬이 다시 살아나다
Sea Shanty Revival with Nathan Evans
“Soon may the Wellerman come,
to bring us sugar and tea and rum…”
한때 바다를 누비던 선원들의 노래가,
디지털 시대에 다시 우리 곁으로 돌아왔다.
그 이름은 바로 〈Wellerman〉,
그리고 이 오래된 바다 노래를 다시 불러낸 사람은
스코틀랜드의 청년, Nathan Evans였다.
1. Sea Shanty란 무엇인가요?
Sea shanty(씨 셴티)는
19세기 무렵 항해 중이던 선원들이
노동의 박자를 맞추기 위해 부르던 **작업 노래(Work song)**입니다.
힘든 항해 중에서도 노래를 부르면
노를 젓거나 닻을 올리는 데 필요한 협동을 자연스럽게 이끌어낼 수 있었지요.
단순한 멜로디와 반복되는 가사,
그리고 합창처럼 부르는 구조는
듣는 이에게 강한 리듬감과 연대감을 선사합니다.
이런 특성은 요즘 SNS에서도 빠르게 퍼지는 요인이 되었어요.
2. Wellerman의 기원은?
〈Wellerman〉은 뉴질랜드의 바다 노래입니다.
19세기 초, 뉴질랜드 근처에서 포경업이 활발하던 시절,
선원들은 ‘웰러맨(Wellerman)’이라는 공급선을 기다렸습니다.
“Wellerman”은 Weller 형제가 운영하던 보급선을 뜻합니다.
이 배는 항해 중인 포경선에
**설탕, 차, 럼주(sugar, tea, and rum)**를 공급하며
선원들의 고된 삶에 잠시나마 쉼표를 찍어주었지요.
이 노래는 그런 기다림과 바람,
그리고 고된 노동 속의 위로를 담고 있습니다.
3. Nathan Evans와 디지털 세상의 대항해
스코틀랜드 출신의 평범한 우체부였던 Nathan Evans는
코로나 팬데믹 시기에 틱톡(TikTok)에 〈Wellerman〉을 부른 영상을 올립니다.
그리고 그 영상은 전 세계에 퍼지며
Sea Shanty 붐을 일으키죠.
사람들은 자신의 목소리를 겹겹이 쌓아
합창처럼 커버를 만들고,
〈Wellerman〉은 순간적으로 SNS를 통해
전 세계 사람들이 함께 부르는 노래가 되었습니다.
이 노래가 다시 인기를 끈 데는
코로나로 인한 격리와 불안,
그리고 함께 부르고 싶은 공동체적 본능이
크게 작용했을지도 모릅니다.
4. 단순한 노래, 깊은 울림
“순식간에 전 세계인이 따라 부르는 유행이 되었지만,
그 안엔 외로움, 노동, 연대감이 있었죠.”
〈Wellerman〉은 단순히 “옛날 노래가 다시 유행했다”는 것이 아닙니다.
이 노래는 사람들이 함께 부르며 연결되는 감정,
그리고 노동 속의 소박한 즐거움을 다시 생각하게 합니다.
"Wellerman"은 19세기 뉴질랜드에서 유래한 전통적인 포크송으로, 2021년 스코틀랜드 가수 네이선 에반스(Nathan Evans)의 커버로 다시 주목받았습니다. 이 노래는 포경선 'Billy o' Tea'와 그 선원들이 'Wellerman'이라 불리는 보급선이 설탕, 차, 럼주를 가져오기를 기다리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Wellerman'은 1830년대 뉴질랜드 오타고 지역에서 포경 산업에 종사하던 웰러 형제들이 운영하던 보급선을 지칭합니다.
다음은 "Wellerman"의 가사와 그에 대한 한국어 번역입니다:
- There once was a ship that put to sea
한때 바다로 나간 배가 있었네 - The name of the ship was the Billy o' Tea
그 배의 이름은 'Billy o' Tea'였지 - The winds blew up, her bow dipped down
바람이 불어와, 뱃머리가 내려앉았네 - Oh blow, my bully boys, blow (huh)
자, 힘껏 불어라, 나의 용감한 친구들아, 불어라 (허) - Soon may the Wellerman come
곧 'Wellerman'이 오겠지 - To bring us sugar and tea and rum
우리에게 설탕과 차와 럼주를 가져다주러 - One day, when the tonguing is done
언젠가, 고래 해체 작업이 끝나면 - We'll take our leave and go
우린 떠나가리라 - She had not been two weeks from shore
그 배는 출항한 지 2주도 되지 않아 - When down on her a right whale bore
'Right whale'이 나타나 배를 덮쳤네 - The captain called all hands and swore
선장은 모든 선원을 불러 맹세했지 - He'd take that whale in tow (huh)
그 고래를 잡아 끌겠다고 (허) - Before the boat had hit the water
보트가 물에 닿기도 전에 - The whale's tail came up and caught her
고래의 꼬리가 올라와 배를 쳤네 - All hands to the side, harpooned and fought her
모든 선원이 옆으로 가서 작살을 던지며 싸웠지 - When she dived down below
그 고래가 아래로 잠수할 때 - No line was cut, no whale was freed
줄은 끊어지지 않았고, 고래도 놓치지 않았네 - The captain's mind was not of greed
선장의 마음은 탐욕이 아니었지 - And he belonged to the whaleman's creed
그는 포경선원의 신념을 따랐네 - She took that ship in tow
고래는 그 배를 끌고 갔지 - For forty days or even more
40일이나 그 이상 동안 - The line went slack then tight once more
줄은 느슨해졌다가 다시 팽팽해졌네 - All boats were lost, there were only four
모든 보트를 잃고, 네 척만 남았지 - But still that whale did go
하지만 그 고래는 계속 갔네 - As far as I've heard, the fight's still on
내가 들은 바로는, 싸움은 아직도 계속되고 - The line's not cut and the whale's not gone
줄은 끊어지지 않았고, 고래도 사라지지 않았네 - The Wellerman makes his regular call
'Wellerman'은 정기적으로 찾아와 - To encourage the captain, crew and all
선장과 선원 모두를 격려하네
이 노래는 포경 산업의 역사와 선원들의 삶을 생생하게 묘사하며, 'Wellerman'의 보급을 기다리는 선원들의 기대와 고래 사냥의 어려움을 그리고 있습니다.
#Wellerman #SeaShanty #NathanEvans #바다노래 #포크음악 #노동요 #공동체감성
#틱톡유행 #음악의힘 #디지털포크 #코로나시대음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