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렇게 세상이 "혁명적"으로 변하고 있는 이 때에
자칫 디지털 소외 계층이 될 가능성이 많은 일부 국민들에게
이렇게 좋은 혜택을 제공하기로 한 정책당국자들에게 감사와 경의를 표합니다.
아래 내용을 참고 하셔서 어제 4월 24일부터 실행된 이용권 혜택을 해당되시는 분들께서는
빠짐없이 신청하셔서 꼭 필요한 혜택들을 누리시기를 바랍니다.
블루
저소득층, 장애인, 노인 및 디지털교육을 희망하는 성인에게 평생교육이용권 혜택
저소득층, 장애인, 노인 및 디지털교육을 희망하는 성인에게 평생교육이용권 혜택- 4월 24일(목)부터 5월 14일(수)까지 광역자치단체별 1차 신청접수 시작- 올해부터 노인 평 - 정책브리핑 | 브리핑
kcg.korea.kr
2025년 평생교육이용권 혜택, 저소득층, 장애인, 노인 및 디지털교육을 희망하는 성인에게
최근 교육부에서 발표한 2025년 평생교육이용권(평생교육바우처) 정책에 대해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이 정책은 저소득층, 장애인, 노인, 디지털 교육을 희망하는 성인을 대상으로 평생교육 참여 기회를 확대하기 위한 지원 제도입니다.
2025년 평생교육이용권 주요 내용
1. 지원 대상
- 저소득층 성인: 19세 이상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 장애인: 19세 이상 등록 장애인
- 노인: 65세 이상
- 디지털 교육 희망자: 30세 이상
※ 노인과 디지털 교육 희망자는 올해부터 새롭게 지원 대상에 포함되었습니다.
2. 지원 내용
- 지원 금액: 1인당 연간 35만 원 (우수 이용자의 경우 최대 70만 원)
- 지원 형태: NH농협카드(채움) 포인트 지급
- 사용 가능 분야: 자격증 취득, 창업, 어학, 인문학, 인공지능(AI), 디지털 등 다양한 분야의 강좌 수강료 및 교재비 결제에 사용 가능
3. 신청 및 접수
- 1차 신청 기간: 2025년 4월 24일 ~ 5월 14일
- 신청 방법:
- 일반 이용권: 평생교육이용권 누리집
- 장애인 이용권: 보조금24 누리집
- 추가 접수: 충북, 전북, 경북, 제주 등 일부 지역과 노인 및 디지털 이용권은 6월 중 별도 공고 예정
4. 기타 사항
- 이용권 발급 주체 변경: 중앙정부에서 광역자치단체로 변경되어 지역 맞춤형 교육 지원 가능
- 총 지원 규모: 약 11만 5천 명 대상으로 총 362억 원 지원
문의처
- 교육부 평생학습지원과: 044-203-6396
- 평생교육이용권 상담센터: 1600-3005
이러한 평생교육이용권 제도는 사회적 취약계층의 교육 기회를 확대하고, 디지털 전환 시대에 필요한 역량을 개발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다음
더 자세한 사항은 평생교육이용권 누리집 또는 보조금24 누리집을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5. 평생교육이용권으로 수강할 수 있는 강좌 목록 확인 방법
평생교육이용권(평생교육바우처)는 사용기관으로 등록된 전국의 평생교육기관에서 다양한 강좌를 수강할 수 있습니다.
강좌 목록은 지역별로 상이하므로, 거주하시는 지역의 평생교육이용권 누리집에서 확인하시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확인 방법:
- 평생교육이용권 누리집에 접속합니다.
- 상단 메뉴에서 ‘사용기관 안내’ 또는 ‘강좌 검색’ 항목을 선택합니다.
- 거주 지역을 선택하여 해당 지역의 등록된 사용기관과 강좌 목록을 확인합니다.
예를 들어, 인천에 거주하시는 경우 인천 평생교육이용권 누리집에서 지역별 사용기관과 강좌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6. 디지털 교육 희망자를 위한 추천 강좌
디지털 교육을 희망하시는 분들을 위해 다양한 강좌가 제공되고 있습니다. 특히, AID 커리어점프 패스를 통해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코딩 등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강좌를 수강하실 수 있습니다.
추천 강좌 예시:
- 파고다인강: 영어회화, 토익, 일본어, 중국어 등 어학 강좌 제공.
파고다인강 평생교육바우처 전용 강좌m.pagodastar.com - K-MOOC: 국가평생교육진흥원에서 운영하는 온라인 공개강좌 플랫폼으로, 다양한 디지털 관련 강좌 제공.
K-MOOC 바로가기 - 에듀윌: 공인중개사, 공무원, 자격증 등 다양한 자격증 취득 강좌 제공.
에듀윌 평생교육바우처 강좌mevent.eduwill.net
이 외에도 다양한 온라인 플랫폼에서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강좌를 제공하고 있으니, 관심 있는 분야의 강좌를 찾아보시길 추천드립니다.
'핫이슈정치경제문화예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연금 가입 시기를 놓쳤다, 국민연금 임의가입제도 (0) | 2025.04.25 |
---|---|
2025년 국민연금 주요 개편 사항 (3) | 2025.04.25 |
기술과 자유의 경계에서: 사회 신용 시스템, AI 감시, 그리고 그 너머 (3) | 2025.04.24 |
사회 신용 시스템 Social Credit System: 통제인가, 신뢰의 도구인가? (2) | 2025.04.24 |
디지털 위안화, 중국은 왜 앞서가고 있을까? (2) | 2025.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