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중독교육육아상담

담배, 니코틴이 우리 몸에 미치는 영향

카페블루 2025. 5. 16. 09:59
728x90
반응형

 

니코틴이 우리 몸에 미치는 영향
(What Nicotine Does to Your Body)

 

Terry Martin 작성 / 2024년 8월 12일 업데이트
의학적 검토: John C. Umhau, MD, MPH, CPE

 

니코틴의 즉각적인 효과 (Nicotine's Acute Effects)

니코틴이 신체에 미치는 즉각적인 영향에는 식욕 감소, 기분 고조, 심박수 및 혈압 상승, 메스꺼움, 설사, 각성도 증가 등이 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이 매우 중독성 높은 물질은 심혈관계, 소화기계, 구강, 생식기계, 호흡기계, 신경계 등 여러 신체 기관에 심각한 손상을 초래한다.

 

일반적인 단기 부작용
(Common Short-Term Side Effects)

  • 식욕 감소
  • 설사
  • 위장 불편감
  • 기분 상승
  • 기억력 및 주의력 향상
  • 혈압 상승
  • 심박수 증가
  • 타액과 가래 분비 증가
  • 메스꺼움
  • 발한

니코틴 사용 시 일어나는 일
(What Happens When You Use Nicotine)

담배 연기를 흡입하면, 니코틴은 10초 이내에 혈류를 통해 뇌에 도달한다.

이후 뇌에서 쾌감과 집중력을 일시적으로 높이는 화학 반응이 유도된다.

미국 보건총괄국(US Surgeon General)에 따르면, 니코틴은 가장 널리 사용되며, 가장 중독성이 강한 약물 중 하나이다.

흡연율은 감소하고 있으나, 전자담배 및 베이프(vape) 사용은 증가 중이며, 미국소아과학회(AAP)는 “전자담배가 새로운 세대를 니코틴에 중독시키고 있다”고 경고한다.

 

하지만 이러한 기분은 수 분 내로 사라진다. 장기적으로 니코틴은 다음과 같은 기관에 영향을 미친다:

  • 뇌(brain): 뇌의 화학 성분을 변화시키며, 주요우울장애, 양극성 장애 등 정신질환의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다.
  • 피부(skin): 혈관 수축을 일으켜 피부에 영양 공급을 방해하며, 노화와 주름을 촉진한다.
  • 심장(heart): 심박수 및 혈압 상승 외에도 동맥을 좁혀 심근경색 위험을 높인다.
  • 폐(lungs): 흡연이나 베이핑은 폐 기능을 저하시켜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등의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니코틴 내성 (Nicotine Tolerance)

신체가 니코틴에 내성을 갖게 되면, 니코틴 효과가 사라질 때 피로감, 불안감, 우울감이 나타나고, 또 다른 흡연 욕구가 유발된다.

 

전문가 의견 (What the Experts Say)

일부 연구에서는 니코틴이 긴장 완화와 인지 향상에 긍정적 효과가 있다는 결과도 있다.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ADHD, 정신분열증 등의 진행을 지연시키는 데 효과가 있다는 연구도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특히 25세 이전의 뇌가 아직 발달 중인 청소년에게 니코틴이 주의력, 기억력, 학습능력, 뇌 가소성(brain plasticity, 유연성, 적응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강하게 경고한다.

 

니코틴 대체요법 및 승인된 치료법
(Off-Label and Approved Uses)

니코틴 대체요법(NRT, Nicotine Replacement Therapy )은 FDA에서 최초로 승인한 금연 약물 치료법이며, 보조 지지와 함께 사용 시 금연 성공률을 2배로 높일 수 있다는 연구가 있다.

NRT 제품에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형태가 있다:

  • 니코틴 껌(nicotine gum)
  • 흡입기(nicotine inhaler)
  • 사탕형 제제(lozenges)
  • 비강 스프레이(nasal spray)
  • 패치(patch)

니코틴의 주요 형태 (Forms of Nicotine)

니코틴은 보통 단독 제품으로 판매되기보다는 다음과 같은 형태로 제공된다:

  • 일반 담배(cigarettes)
  • 니코틴 금연 보조제(껌, 패치 등)
  • 전자담배용 액상(liquid for vapes)

FDA는 모든 담배 제품에 다음 경고문을 요구한다:

“경고: 이 제품은 니코틴을 포함하고 있으며, 니코틴은 중독성 있는 화학물질입니다.”

 

니코틴 사용 방법 (Methods of Nicotine Use)

가장 일반적인 섭취 방식은 담배 흡연(cigarette smoking)이며, 한 갑은 약 250회 분량의 니코틴 흡입(hit)을 제공한다.

최근에는 전자담배(e-cigarettes), 베이프 외에도 다음과 같은 형태가 있다:

  • 파이프(pipes), 시가(cigars)
  • 씹는 담배(chewing tobacco), 코담배(snuff)
  • 물담배(hookahs)

니코틴 사용의 징후 (Signs of Use)

  • 냄새: 흡연자는 옷과 숨결에서 담배 냄새가 남.
  • 기기: 전자담배, 베이프 펜, 탱크, 일회용 카트리지
  • 갈증: 액상 내 프로필렌글리콜로 인한 증상
  • 코피: 건조한 비강에서 비롯됨
  • 과일 또는 단 향기: 향료가 첨가된 베이프 액상
  • 짜증 및 불안감: 금단 증상의 대표적 징후

흡연은 미국에서 가장 예방 가능한 질병, 사망, 장애의 주요 원인으로, 매년 약 48만 명이 흡연으로 사망한다.

2023년 조사에 따르면, 미국인의 23%(약 6,440만 명)가 최근 30일 내 담배나 니코틴 제품을 사용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내성, 의존, 금단
(Tolerance, Dependence, and Withdrawal)

니코틴은 매우 강한 중독성 물질로, 꾸준히 사용하면 뇌와 신체는 일정량의 니코틴을 매일 기대하게 된다.

이를 충족하지 못하면 금단 증상이 발생한다.

내성은 사용량을 늘리게 만들며, 이것이 금연이 어려운 주요 이유 중 하나다.

 

니코틴의 체내 지속 시간
(How Long Does Nicotine Stay in Your System)

니코틴은 폐, 구강·인후 점막, 위장관(껌, 사탕), 피부(패치)를 통해 흡수된다.

주로 간에서 대사되며, 소변과 대변을 통해 배출된다.

체내 잔류 시간은 연령, 체중, 사용 빈도, 수분 상태, 신체활동 등에 따라 달라진다.

 

검출 가능한 시간:

  • 침 검사: 1~4일
  • 혈액 검사: 2~4일
  • 소변 검사: 2~4일
  • 모발 검사: 최대 90일

니코틴 중독 (Addiction)

니코틴은 코카인, 암페타민(필로폰, 히로뽕)과 동일한 보상 경로를 활성화시키며, 도파민(dopamine) 수치를 높여 쾌감과 행복감을 유발한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뇌는 더 많은 니코틴을 원하게 되고, 이로 인해 중독의 악순환이 형성된다.

 

니코틴 금단 증상 (Withdrawal)

니코틴의 급성 효과는 수 분 내에 사라지며, 지속적인 흡연을 통해 기분을 유지해야 한다.

금단 시 다음과 같은 신체·심리적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 변비, 복통
  • 기침
  • 흡연 욕구
  • 입 건조
  • 피로감
  • 두통
  • 집중력 저하
  • 불면
  • 콧물 뒷목넘김(postnasal drip)
  • 인후통, 혀/잇몸 통증
  • 가슴 답답함

중독과 금단에 대한 치료
(Treatment for Addiction and Withdrawal)

 

니코틴 중독은 어렵지만 극복 가능하다.

우선 금연 시작일(quit day)을 정하고, 그날부터 금연 보조제 이외의 니코틴 제품 사용을 중단하는 것이 좋다.

 

심리치료 (Therapy)

  • 인지행동치료(CBT): 니코틴 사용의 유발 요인을 파악하고, 대처 전략을 개발한다.
  • 동기면담(Motivational Interviewing): 개인의 가치와 목표를 행동으로 일치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 마음챙김(Mindfulness): 욕구와 유혹을 이겨내는 훈련을 통해 니코틴과 감정적으로 분리하도록 돕는다.

약물치료 (Medications)

  • 챈틱스(Chantix, 바레니클린): 니코틴 사용 시 쾌감을 줄이며 금단 증상 완화
  • 지반(Zyban, 부프로피온): 금단 증상 및 흡연 욕구 감소
  • 니코틴 대체요법(NRT) 병행 가능
  • 부작용: 두통, 메스꺼움, 기분 변화, 수면 장애, 간혹 발작 가능

생활 습관 변화 (Lifestyle Changes)

  • 가족, 친구에게 금연 계획을 공유하고 지지를 요청한다.
  • 금연 친화적인 활동 목록을 만들어 실행한다 (예: 영화 보기, 박물관 관람 등).
  • 유발 요인을 피하거나 대처할 계획을 세운다 (예: 술자리 피하기).

도움받는 방법 (How to Get Help)

행동치료 및 지지 상담은 금연 성공률을 약 10~20%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혼자 하지 말고, 주변의 도움과 전문가의 조력을 받는 것이 회복의 지름길이다.

덧붙이는 말:

한국의 흡연 통계 (2023년 기준)

  • 성인 흡연율: 2023년 기준으로 한국의 성인 남성 흡연율은 약 31.3%, 여성은 약 6.7%로 나타났습니다.
  • 청소년 흡연 경험: 2023년 아동종합실태조사에 따르면, 만 9~17세 아동 중 흡연을 경험한 비율은 1.8%로, 2018년 대비 감소하였습니다. 대한민국 정부 포털

금연 및 중독 상담 안내

금연을 원하시거나 니코틴 의존으로 어려움을 겪고 계시다면, 아래의 전문 기관에 도움을 요청하실 수 있습니다:

이 기관들은 금연을 위한 다양한 정보와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니,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